서론7 요한복음 배경 지식(저자, 기록 연대, 기록 장소) 성경의 배경지식을 알면, 성경이 더 깊이 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요한복음의 저자와 기록 연대, 기록 장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한복음은 전통적으로 예수의 제자 중 하나인 사도 요한에 의해 기록되었다고 여겨지며, A.D.85~90년 경에 에베소에서 기록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요한복음 서론- 제목 헬라어 원전에서의 제목인 '카타 요안넨'은 '요한에 의한'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이것은 본서의 저자인 요한의 이름을 표제로 사용하였음을 보여줍니다. 이로 인해 본서의 내용과 가르침이 요한에 의해 전달되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영어 성경에서는 본서가 네 개의 복음서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복음'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복음'은 헬라어로 '유앙겔리온'(euangelion)이며, 이는 '좋은.. 2023. 5. 8. 골로새서의 특징과 개요 (골로새서 7) 골로새서는 기독론에 대해서 아주 명확하게 증거하고 있는 특별한 책입니다. 골로새서의 특징과 개요를 살펴보시며, 예수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증언하는 사도 바울의 믿음을 닮아가시길 바랍니다. 골로새서의 특징 ① 본서는 모든 성경들 중에 기독론에 대하여 가장 탁월하게 묘사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즉 본서에는 가장 분명한 형태로, 또 가장 다양한 형태로 그리스도에 대한 묘사가 나타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의 사랑하시는 아들'(골 1:13),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골 1:15),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골 1:15), '만물을 창조하신 분'(골 1:16), '교회의 머리'(골 1:18), '만물의 으뜸'(골 1:18), '하나님의 신성이 충만하신 분'(골 1:19 ; 2:9).. 2023. 4. 18. 골로새서 서론6 (핵심 단어, 장절, 현대적 적용) 골로새서의 핵심 단어와 장, 절을 짚어보신 후에 읽으신다면, 골로새서를 통해 사도 바울이 말하고자 한 내용이 더욱 선명하게 느껴지실 것입니다. 그리고 2000년 전의 글이, 지금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살아 있는 적용점을 제공해 줄 것입니다. 목차 골로새서의 핵심 단어 핵심 절 핵심 장 현대적 적용 1. 골로새서의 핵심 단어: 충만(헬, 플레로마) 원래 헬라어 '플레로마'는 영지주의자들이 즐겨 쓰던 용어로써 그들은 눈으로 볼 수 없는 하나님과 눈으로 목격되는 보다 차원이 낮은 세계 사이에는 무수한 천사적인 존재에 의해 '충만'(채워져 있음)되어 있음을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사상이 골로새 교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인간 사이를 통하게 하는 많은 영적 존재들 중 하.. 2023. 4. 17. 골로새서 서론 5 (골로새서의 그리스도) 우리는 성경의 모든 부분에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이 담겨 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 특히 골로새서에서는 예수님께서 그리스도이심이 매우 분명하게 증거 되고 있는데요, 골로새서에서는 그리스도께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골로새서의 그리스도 본서는 모든 성경 가운데서 그리스도에 대하여 가장 탁월하게 묘사하고 있다. 본서에 나타난 그리스도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그리스도는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골 1:15)이요 '만물을 지으신 창조자'(골 1:16)이시며 동시에 '만물을 유지하시는 분'(골 1:17)이시다. 골로새서 1장 15~17절 15 또 광명체들이 하늘의 궁창에 있어 땅을 비추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16 하나님이 두 큰 광명체를 만드사 큰 광명체.. 2023. 4. 13. 골로새서 서론 3(내용 전개) 오늘은, 바울이 골로새 교회에 보낸 편지인 골로새서가 어떤 흐름 속에 있는가, 즉 골로새서의 내용 전개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천천히 읽어 나가시면, 골로새서 전체를 머릿속에 그리는데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 골로새서 서론 3 (내용 전개) 본서신은 당시 골로새 교회를 위협하던 거짓 철학과 유대주의적 율법주의, 천사 숭배 사상 및 금욕주의 등이 기독교 신앙에 배치됨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그리스도의 신성과 우월성에 대하여 강조함으로써, 만물의 중심이 되시는 그리스도를 증거 한다. 아울러 이러한 그리스도의 품성과 권능에 순종하여야 하는 ‘그리스도와 연합된 성도의 바람직한 삶’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본서를 신약서신서의 기본 구조를 기준으로 나누면 1 : 1-12의 도입부와 1:1.. 2023. 4. 11. 골로새서 서론_2 (신학적 집필 동기와 배경) 사도 바울은 투옥되어 있는 동안에, 골로새 교회를 직접 개척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를 위해서 간절히 기도하고, 편지를 보내 권면을 하였습니다. 왜 이렇게 편지를 쓰게 되었는지 그 집필 동기와 당시 골로새 교회 주변의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신학적 집필 동기와 배경 본 서신의 수신지인 골로새 교회가 위치한 골로새는 에베소에서 동쪽으로 약 160km 정도 떨어진 작은 도시로서 브루기아(Phrygia) 주의 서남쪽에 있는 리쿠스(Lycus) 평야 중앙을 흐르는 메안더(Meander) 강의 지류인 리쿠스 강 계곡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 즉 인근의 라오디게아(Laodicea)에서는 동쪽으로 약 19km 지점에, 또 히에라볼리(Hierapolis)에서는 남동쪽으로 약 21km 떨어진 지점에 골로새시.. 2023. 4. 11. 골로새서 서론 (제목, 저자와 기록 연대) 이제 골로새서 묵상에 도움이 되도록 서론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골로새서라고 부르게된 근거, 저자와 기록 연대를 살펴 보겠습니다. 골로새서 서론 * 목차 제목 저자와 기록 연대 저자 기록 장소와 연대 가이사랴 설 에베소 설 로마 설 1. 제목 골로새서라는 본서신의 한글 제목은 수신지인 골로새의 지명을 따라 붙여졌다. 그러나 헬라어 성경에서는 본서의 내용 중에 있는 '골로새에 있는'(1:2) 이란 말로 인하여 '골로새인들에게' (xpos xoloooaes, 프로스 콜롯사에이스)란 제목이 붙여짐으로 바울의 서신서 대부분이 그러한 것처럼 수신자들을 제목에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서의 제목을 보다 헬라어 제목과 일치시키려면 '골로새인서' 로 해야 할 것이다 (Colossians-골로새인들, .. 2023. 4. 10. 이전 1 다음